본문 바로가기

국내여행/서울

[서울] 서울역사박물관


서울역사박물관에 다녀왔습니다.


한 번만에 다 못봐서 두번 다녀왔습니다;


엄청 넓더라구요.



서울역사박물관은 경희궁 옆에 있습니다.


주로 조선시대 이후


그러니까, 수도 서울의 역사를 다루고 있습니다.


(조선시대 이전, 백제시대 이야기는 한성백제박물관에 잘 전시되어 있습니다)



주말에 다녀왔는데, 오전에 좀 조용하긴 했지만 초등학생이나 그보다 어린 아이들이 많이 있더라구요.


그래서 조금 시끄럽긴했습니다



안내데스크에 가면 이런 기기를 빌려줍니다.


음성안내 정보가 담겨있는데요


모든 전시물을 다 소개해주는 건 아니고 절반 정도의 전시물에 대한 설명이 담겨 있습니다.


영어, 중국어, 일본어도 담겨 있구요 (다른 언어가 더 담겨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)


안내데스크에서 신청서 작성하고, 신분증을 맡기면 기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 


이어폰이 한 쪽 밖에 없기 때문에 혹시 불편한 것 같으면 이어폰을 챙겨가시면 좋을 것 같아요.






원래는 무악(지금의 신촌 일대)에 도성이 자리잡을 뻔 했다고 합니다.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드라마에 많이 나오는 전형적인 집 구조



강남 1970에 나왔던 집 구조


요즘 원룸과 비슷한 것 같기도 하고...












경성시가전기버스선로일람도












서울의 고독..


지금도 아마 





서율역사박물관에는 유독 건축, 공사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 있었습니다.


이런 이야기 좋아하지만,,, 왜 그런걸까 싶었는데


찾아보니 서율역사박물관 내부 전시물은


이명박 당시 시장 임기 중에 꾸며졌더라구요..


그래서 더 부각이 되어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


아무튼, 서울 역사에 있어서 도시의 발전 과정, 도로와 건물의 확장 과정이 중요하긴합니다..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박물관 한 켠엔 특별전이 진행되고 있었습니다.















대동법이 시행된 이후 선혜청이 생기면서 시장 경제가 활성화..


현물로 세금을 바칠 때 부정부패가 생기다보니 그로 인해 고통받는 백성들이 많아져서 


그 문제를 개선하고자 대동법이 생긴 것이라 알고 있습니다.


그 대동법으로 인해 선혜청이 생겨났고


그 과정에서 오늘날의 시장 경제가 태동한 것입니다..


이 땅에서 일어나는 문제, 모순을 극복하다보니


예기치 않게 진보하게 된 한 사례가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














'국내여행 > 서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서울] 농업박물관  (0) 2017.05.20
[서울] 가좌동  (0) 2017.05.19
[서울] 영등포, 문래창작촌  (0) 2017.04.25
[서울] 여의도 윤중로 벚꽃_ 빛나는 아침!  (0) 2017.04.14
[서울] 여의도 윤중로 벚꽃_ 오후  (0) 2017.04.13